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elp 함수
- Logic Operator
- user function
- 앱인벤터
- 관계 연산자
- 비트 논리 연산자
- ISSACMin
- 앱 스토어 4월
- C++ 연습예제
- output
- User Input Output
- C++
- cmath
- 연산자
- using namespace std
- 모바일 무료 게임 순위
- 파이썬
- Python
- Conditional operator
- 앱 인벤터
- Operator
- 앱 인벤터 예시
- Python Basic
- C++ Basic
- 앱 인벤터 2
- input
- 사용자 입력
- 프로그래밍 열풍
- 파이썬을 중심으로
- 사용자 출력
- Today
- Total
목록Programming Language/C++ Basic (19)
ISSAC.Min
1. 조건문(witch) 현재 C++에서는 여러가지 조건문을 지원하며 앞의 포스팅을 통하여 if-else 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오늘 포스팅은 조건문 중 하나인 Switch 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문법을 통하여 똑같은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f-else문에서의 알고리즘을 Switch문에서도 사용가능하단 이야기이다. 또한 앞에서 포스팅했던 반복문인 while문도 for문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간단한 예제로 사용자에게 1 ~ 5까지의 정수형을 입력받고 각 입력에 맞는 출력을 해주는 프로그램을 보자.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1. 반복문(while) 지금 포스팅 할 반복문 while문은 C++에서 지원하는 반복문(While, Do-while, for... ) 중 하나이며 반복의 조건이 if 문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if문 다음으로 포스팅 하였다. 얼마나 비슷한가 하면 아래의 예시를 보자. 1234567891011121314#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um1 = 1; while(num1
1. 조건문(if-else)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조건문이라고 말한다면 다들 if문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물론 조건문이 if문에 대응한다는 소리는 아니고 다른 조건문도 존재한다.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볼 조건문 if-else문의 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int num; cout num; //조건문 if(num > 5){ cout
1. Pass by Value(값에 의한 전달) 값에 의한 전달(Pass by Value)은 앞에서 사용한 함수에 의한 값 전달이다. 지역변수(Local Variable)에서 값을 복사하여 복사본을 함수에 넣어준다고 이야기한것을 의미한다. 123456789101112131415#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pass_by_value_func(int x); int main(){ int num = 10; cout
1. 지역변수(Local Variable) 예전 포스팅에서 변수(Variable)에 관한 이야기를 짧게나마 하고 지나간적이 있다. 이러한 변수(Variable)는 정의된 장소에 따라 사용 범위를 가지게 되는데 지금 설명할 지역변수(Local Variable)과 다음에 설명할 전역변수(Global Variable)로 나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변수의 사용에 있어 유효범위는 매우 중요한데 대표적으로 모든 부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해야하는 경우도 발생하며 어떤 함수 속에서만 사용해야하는 변수도 발생하는 것이 그 예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변수는 생성되고 사용되며 마지막엔 소멸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수들은 어디서 생성되어 어디에 저장되며 어디서 사용하고 언제 소멸되는지는 변수마다 다르다. 이제 설명할 지역변수(L..
1. 수학 함수(cmath) 우리는 앞에서 함수(Function)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했었다. 이 포스팅에서는 바로 전 [사용자 정의 함수(User Defined Function)]에서 잠시 등장했었던 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수학함수 는 C++안에 포함된 표준 라이브러리이며 그 안에는 우리가 실제 공학계산기에서 사용하는 삼각함수, 지수함수, 서비스 함수, 로그함수 등과 같은 수식들을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있다. 함 수 설 명 min(x, y) x와 y 중 최소값을 반환한다. max(x, y) x와 y 중 최대값을 반환한다. ceil(x) x를 정수 올림한다. (반환값은 double형) floor(x) x를 정수 내림한다. (반환값은 double형) abs(x),fabs(x) x의 절댓..
1. 함수(Function) 함수(Function)이란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설계된 코드들의 집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함수는 복잡한 코드들이 자주 사용될때 빛을 바라는데 예시를 들면 와 같이 수식들이 포함되어있는 라이브러리 안 함수들이 그러하다. 12345678910#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um1 = 1; cout
1. Lab #1_0 화면에 Hello World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2. Lab #1_1 사용자로 부터 두 개의 정수를 입력받아 +, -, *, /, %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라. 단, /의 출력은 실수가 출력되어야 한다. 3. Lab #1_2 사용자로 부터 두 개의 정수(num1, num2)를 차례대로 입력받고 num1과 num2의 값을 서로 교체하여 출력하라. 4. Lab #1_3 사용자에게 신장(실수), 몸무게(실수)를 입력받고 BMI지수(실수)를 출력하라. BMI지수의 식은 아래와 같다. BMI = weight(kg) / (height(m) * height(m)) 5. 실습
1. 사용자 입력 / 출력(User Input / output) 소프트웨어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누구라고 할 수 있을까? 전적으로 필자는 사용자(User)라고 생각한다. 이유는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요구를 처리하기 위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즉, 오늘할 이야기도 사용자들을 위해 꼭 필요하고 C++의 기본이 되는 함수를 포스팅 할 것이다. 오늘 소개할 사용자 입출력 함수는 앞의 포스팅들인 [연산자(Operator)]의 예시에서 계속 사용했었던 cout과 cin이다. C++에서는 cout, cin을 표준 입출력 함수(콘솔 표준 입출력 함수)라고 정의하며 사용을 위해서는 이라는 헤더파일을 불러와야한다. 1#include cs 즉, cout과 cin은 헤더파일 안에 존재하며 우리는 main ..
1.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는 논리 연산자랑 비슷한 비트 논리 연산자와 비트를 이동시킬 수 있는 시프트 연산자로 나눌 수 있다. 사실 C/C++를 통한 디바이스를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면 비트 연산자를 크게 쓸일은 없다고 볼 수 있다. 필자 또한 비트 연산자를 써본적은 학교 강의 실습시간이 전부인 것 같지만 연산자고 크게 어려운 내용은 없으니 기억해 놓자. 비트 논리 연산자는 논리 연산자와 비슷하게 &, |, ^, ~ 등을 사용하며 아래와 같다. 연 산 자 설 명 & 같은 위치간 비트가 모두 1일때만 1을 반환한다. | 같은 위치간 비트가 모두 0일때만 0을 반환한다. ^ 같은 위치간 비트가 다를 경우 1을 반환한다. ~ 비트의 수를 ..